본문 바로가기
토목공학

삼축 압축시험 방법

by 입소문난 2023. 9. 20.

토지는 우리 삶 주변에서 무의식적으로 경험하는 것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그 안에는 미시적인 세계가 존재하며, 이것을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해 공학과 과학 분야에서는 다양한 시험 및 실험 기술을 개발해 왔습니다. 그중에서도 "삼축 압축시험"은 토질의 역학적 특성을 연구하고 평가하기 위한 핵심적인 실험 방법 중 하나입니다. 토지는 건설 프로젝트, 지반 안정성 분석, 지진 예측, 지반공학 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분야에서 토지의 물리적 특성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은 프로젝트의 성공과 안전을 보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삼축 압축시험은 토지의 압축 특성을 연구하고 분석하는 데 필수적인 실험 기술입니다. 이 블로그 포스팅에서는 삼축 압축시험의 기본 개념부터 어떻게 수행되는지, 그리고 그 결과를 해석하는 방법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토지 엔지니어링 및 지반연구 분야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는 꼭 알아두어야 할 중요한 주제입니다. 그러므로 함께 시작해 보겠습니다.

삼축 압축시험 목적

삼축압축 시험은 흙의 강도정수를 구하는 여러 시험 중에서 가장 신뢰성이 있는 시험으로 점성토로 만든 원주형 공시체를 정말 포화시켜 삼축으로 압축하여 파괴한다. 구속응력이 일정한 상태에서 파괴과정의 축 방향 변형에 따른 전단 저항하중을 측정하여 안정해석에 이용한다.

삼축 압축시험 실험기구

  • 삼축압축시험기
  • 압력실
  • 축하 중 가압 장치
  • 항압장치
  • 부피변화 측정계
  • 검역계
  • 축압축량 측정장치
  • 간극수압 측정장치
  • 성형상자
  • 트리머
  • 다짐용 몰드
  • 줄톱
  • 곧은 날
  • 고무막 확장기
  • 고무막 및 고무밴드
  • 저울
  • 초시계
  • 각도기
  • 함수비 측정기기(증발 접시, 건조로, 저울)

삼축 압축시험 이론

이번 실험을 하는 것은 삼축 압축 시험 중에서도 CU-Test와 CU'-Test이다. 이번 이론 파트에서는 이 부분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기로 하자. CU-Test라고 하면 압밀 비배수 시험으로서 삼축 압축 시험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인 시험방법이다. 먼저 포화시료에 구속압력 a3을 가하여 시료를 압밀 시킨다. 구속압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간극수압이 완전히 소산 된 후에 전단파괴가 일어나도록 축차응력, △∂d를 시료에 가한다. 축차응력이 가해지는 동안 배수통로를 완전히 차단시키며, 배수가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간극수압(ud)은 증가하게 된다. 이 시험 동안에는 △∂d와 △ud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며, 간극수압 증가량(ud)을 무차원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Skempton의 간극수압계수 A'=△ud/△∂d

느슨한 모래와 정규압밀점토의 경우에는 간극수압이 변형률에 따라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조밀한 모래와 과압밀 점토의 경우에는 간극수압이 변형률 증가에 따라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다가 어느 한계를 지나 감소하면서 부압이 발생한다. 이러한 감소의 원인은 흙의 팽창 특성 때문이다. 압밀 비배수 시험에서는 전응력과 유효응력은 동일하지 않다. 파괴 시 간극수압을 측정하여 주응력을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가 있다.

CU-test의 특징

  • 구속응력을 가하여 압밀 시킨 후, 비배수상태(간극수의 출입이 없으므로 부피의 변화는 없으나, 간극수압 발생)에서 전단응력을 가하여 공시체를 파괴시키는 비배수 시험
  • CU-test는 가장 일반적인 삼축압축시험

삼축 압축시험 방법

  1. StepⅠ-그림 8.24(a) 구속응력(∂3) 가하여 공시체 압밀(과잉간극수압의 소산, uc=0)
  2. total and effective confining stress
  3. Step Ⅱ-그림 8.24(b) 배수 제한, 파괴 시까지 축차응력(△∂d) 증가 ➡ 간극수압(△ud) 증가

•principal stress at failure

Minor Major total effective ③파괴 시 파괴면 : △uf, 전단 전(압밀 후)△V=전단 후△Vf

CU-test 결과

CU-test에 의한 전단강도정수의 결정

 

•CD-test : Cd, ∮d

•CU-test : Cu, ∮u, 전응력으로 강도정수 결정

•CU'-test : C', ∮', 유효응력으로 강도정수 결정(CU-test with pore pressure measurement) c', ∮'와 Cd, ∮d는 근본적으로는 동일하나, shear strain rate의 차이로 인해 약간 차이 있음

그림 8. CU-test에 의한 전응력과 유효응력으로 나타낸 파괴포락선(sand and NC clay)

②모래와 정규압밀점토

Tf = ∂tan∮ 여기서 ∂ :전응력(total stress), ∮ : 압밀비배수 내부마찰각

Tf=∂'tan∮'

②과압밀점토

ab line tf= c+∂tan∮1, bc line Tf=∂tan∮

OC clay의 CU-test 할 때, 압밀압력을 선행압밀압력 이상으로 가했다면 Mohr원은 정규압밀점토와 같게 그려진다.

삼축 압축시험 조건

삼축압축시험에는 압력실의 압력 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재하봉을 서서히 가압하여 공시체를 압축파괴시킨다. 압력실내의 과잉간극수압을 소산 시키기 위하여 배수상태로 시행하는 배수 시험과 배수를 방지한 상태에서 수행하는 비배수시험이 있다. 시료를 압축파괴 시키기 전에 압밀 시킬 수 있으며 압밀압력을 등방 또는 비등방으로 가할 수 있다. 삼축시험은 압밀방법과 배수방법에 따라 다음의 3가지 조건으로 시험한다.

  • UU 시험 ( 비압밀, 비배수 ) : 포화공시체를 멤브레인으로 싼 후에 압밀 시키지 않고 비배수 상태에서 측압을 가하고 축방향으로 재하 하여 비배수 상태에서 시료를 전단파괴시킨다. 이 시험은 시공 중인 점성토지반의 안정과 지지력 등을 구하는 단기적인 설계에 적용된다. 시험방법이 간단하고 빨리 끝낼 수 있으므로 Quick Test라고도 한다. 재하 중에 주응력과 공시체의 압축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로 배수전단강도 가 구해진다.
  • CU 시험 ( 압밀, 비배수 ) : 시료를 우선 압밀 시킨 후에, 비배수상태에서 압축파괴시키는 시험으로 실내부에서 과잉간극수압이 등압 되도록 충분히 느린 속도로 재하 한다. 재하 중에 응력과 시료의 압축량을 측정한다. 재하중에 간극수압을 측정하면 유효정수를 구할 수 있다. 샌드드래인 공법 등에서 압밀 후의 지반강도를 예측하거나 압축시간극수압을 측정하여 공시체내의 유효응력을 알 수 있다.
  • CD 시험 ( 압밀, 배수 ) : 시료를 먼저 압밀 시키고 나서 배수상태로 축방향 재하하여 공시체를 파괴시킨다. 시료는 주로 등방 압밀시키며, 시험목적에 따라서 비등방압밀 시킬 수 있다. 재하 중에 시료 내에서 과잉간극수압이 발생되지 않도록 충분히 느린 속도로 재하 한다. CU시험에서 간극수압을 측정하면 그 결과가 CD시험과 일치하므로 일반적으로 CU시험으로 대체하여 수행한다. 전단 중에 주응력과 축변형을 측정하며 결과로 유효전단 강도정수 가 구해진다.

강도정수의 결정 

  • 시험 개수 지반시료의 역학적 거동특성과 강도정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최소 3개 이상의 공시체를 제작하여 측압을 변화시키면서 시험하며, 측압은 현장조건과 일치하는 크기로 가한다. 비교란시료에 대한 CU시험에서는 강도정수가 과압밀영역과 정규압밀영역에서 다를 수 있으므로 더 많은 시험이 필요하다.
  • 강도정수 결정 삼축시험에서 파괴상태는 축차응력이 최대가 되는 상태(∂1 - ∂3) max, 또는 주응력비가 최대가 되는 상태(∂1/∂3) max로부터 구하며 일반적으로 주응력비로 구하는 편이 안전 측이다. 따라서 CU시험에서는 안전 측인 주응력비를 택하는 것이 좋다. 강도정수는 다음의 3가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삼축 압축시험 방법

공시체의 성형

공시체의 지름은 압력실내의 시료실의 지름과 같게 한다. 통상 쓰이는 지름은 3.5cm와 5.0cm이다. 공시체를 조제하는 방법에 따라 조제한다. 흐트러진 시료로 공시체를 만드는 경우에는 3.5cm 또는 5.0cm의 지름의 모울드에 정해진 함수비의 흙을 넣어 주어진 단위중량이 되도록 다진다. 모울드에서 빼낸 시료는 줄톱을 사용하여 적절한 길이로 자르고 함수비와 단위중량을 확인한다. 세립이 없는 사질토로 압축시험을 하는 경우에는 점성토처럼 성형할 수 없으므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공시체를 조제한다.

  1. 성형용 모울드의 내면에 멤브레인을 두른다. 모울드는 두 쪽으로 갈라질 수 있는 것이 어야 한다. 시료실에 다공석반을 올려놓고 그 위에 모울드를 끼운다. 모울드의 내변에 있는 멤브레인을 펴서 시료실에 씌우고 고무줄로 동여맨다. 시료실에 통하는 배수구에 뷰렛을 연결한다. 포화시료의 경우에는 모울드와 뷰렛에 물을 채워 둔다.
  2. 흙을 모울드에 넣고 다지거나 적절한 높이에서 떨어뜨려서 요구되는 단위중량이 얻어지도록 한다. 시료를 모울드 상단보다 약간 아래에 올 때까지 넣고 그 위에 재하캡을 올려놓는다. 모울드 내면에 있는 멤브레인을 펴서 재하캡을 둘러싸고 고무줄을 둘러 잡아맨다.
  3. 뷰렛의 상단을 가볍게 빨면서 밸브를 잠그고 모울드를 제거한다. 이렇게 하면 공시체 내에 부압이 생겨서 모울드를 풀더라도 무너지지 않는다.

점성토의 압밀 비배수 시험

  1. 방사선 방향 배수용 여과지를 성형한 공시체를 싼다.
  2. 여과지를 씌운 공시체에 멤브레인을 씌운다. 이것을 씌우는 방법은 멤브레인 확장기안에 멤브레인을 넣고, 확장기의 상하단은 멤브레인을 씌워 감는다. 돌기한 관을 입으로 빨면 멤브레인이 확장기에 밀착되므로 공시체가 그 속에 들어갈 수 있다. 공시체 양단과 밀착되도록 불침수성 원판을 멤브레인 속으로 끼워 넣는다.
  3. 공시체를 압력실로 옮겨 설치한다. 이때 공시체의 상하면에는 포화시킨다. 공석반을 둔다.
  4. 압력실을 조립하고 물을 채운 후 소정의 구속압력을 가한다.
  5. 밸브를 연 상태에서 구속압력으로 압밀을 시킨다.
  6. 압밀시간은 공시체에 따라 다르나 보통 24시간으로 한다.
  7. 압밀이 완료되면 체적변화량과 압밀침하량을 기록한 다음 모든 밸브를 잠근 고 축방향력을 가한다. 압축 속도는 매분 1%의 변형률이 생기도록 한다.
  8. 압축이 완료되면 파괴 상황을 기록하고 함수비를 측정한다.

압밀 비배수 시험에서는 전응력과 유효응력은 동일하지 않다. 파괴 시 간극수압을 측정하여 주응력을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가 있다.

이번에 하는 실험은 몇 개의 시료에 각각 다른 구속압력을 가하여 시험을 실시한다.

구속압(kPa) 1 : 100, 2 : 150, 3 : 200

삼축 압축시험 결과치

물성치

구속압 (kpa) 직경 (m) 높이 (m) 함수비 시료무게 (kg) 액성한계 소성한계 비중
100 0.05 0.1 0.552 0.3265 44.2 26.6 2.72
150 0.05 0.1 0.55 0.3272 44.2 26.6 2.72
200 0.05 0.1 0.554 0.3273 44.2 26.6 2.72

건조단위중량, 포화도, 단위중량, 간극비 구하기

새로 구한 물성치

r(kg/m^3) rd(kg/m^3) se e s n
1662.851 1071.425 1.50144 1.538676 0.97580 0.606094
1666.416 1075.107 1.49600 1.529981 0.97779 0.604740
1666.925 11072.667 1.50688 1.535735 0.98121 0.605637

데이터 값을 이용한 분석과 그래프

축차응력을 가한 후 응력-변형율 거동

분석

CU-Test의 경우에 축차응력과 변형률간의 그래프는 두 가지 종류로 나누어지는데 첫째 정규압밀점토, 느슨한(loose) 모래의 경우이고 다음으로는 과압밀점토, 조밀한(dense) 모래의 경우가 존재한다.

위의 데이터를 통해 삼축압축시험 결과 정점을 가지지 않으며 잔류응력 형태도 가지지 않는다. 변형이 진행될수록 축차응력이 줄어들지 않고 유지되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이러한 것으로 비추어 볼 때, 정규압밀점토 또는 느슨한 모래에 근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렇게 그래프의 초기 부분에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였는데 이것은 초기의 조건에 따른 작은 오차로 보이는데, 초기의 모양을 자세히 보면 이론과는 다르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정도의 오차는 무시해도 크게 문제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확대해 보아서 크게 보이는 것일 뿐 전체를 비교한다면 아주 미세한 차이일 뿐이다. 구속압 200 Kpa 일 때의 오차가 제일 많이 생긴 것을 알 수 있다.

간극수압-변형율 관계 그래프

위의 모양을 보면 간극수압-변형율 곡선이 완만한 곡선을 그리고 있다. 이론과 실제를 비교해 보자.

<이론상의 그래프>

위의 해석결과의 그래프와는 정규압밀점토, 느슨한 모래의 경우와 비슷하게 생겼다. 따라서 이 간극수압-변형율곡선으로 분석해 본 결과 정규압밀점토 또는 느슨한 모래에 더욱 근접한 것을 알 수가 있다.

이 그래프의 초기 부분을 보면 위의 축차응력을 가한 후 응력-변형율 거동의 그래프의 초기 부분과 비슷하다는 점을 알 수가 있다. 이것 또한 오차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파괴포락선

전응력과 유효응력으로 표시한 파괴포락선의 이론상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데이터 상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위의 그래프에서 보듯이 모어원이 그려지면 파괴 포락선이 그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위의 축차응력-변형율 그래프와 간극수압-변형률을 통한 그래프에서 해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는 정규압밀점토라는 점이다. 이론상에서는 정규압밀점토의 파괴포락선은 내부점착력(c')을 갖지 않아야 하는데, 위의 데이터 분석을 통한 그래프에서는 내부점착력이 나왔다. 하지만 이 값은 굉장히 0에 가까운 값으로 정규압밀점토이지만 오차에 의한 값일 가능성이 크다.

Stress Path(응력경로)

여러 점을 연결하는 선으로 도시, 시험이 진행하는 동안에 시료가 받는 연속적인 응력상태를 가리킨다. 응력경로를 찾는 데에는 Lambe의 응력경로를 도시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흔히 응력경로를 알아내는 데에는 모어원의 정점(peak)을 이어서 표시한다.

데이터를 통해 알아본 전응력을 이용한 응력경로

Mohr의 응력원의 가운데 중심점을 연결한 선으로서 기울기가 1에 근접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응력경로의 기울기는 45°로 기울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구속압에서 출발을 하여 일직선으로 그려진다.

이 그래프는 Mohr 응력원의 가운데 중심점을 연결한 선으로 유효응력을 통해 응력경로(stress path)를 표시하였다. 이 그래프를 보면 직선이 아니다. 이것은 간극수압을 뺀 유효응력이기 때문에 휘어진 모양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 초기에는 일직선으로 이루어지다가 점차 축차응력이 세지면서 간극에 있던 물이 어느 정도의 힘을 받아줌으로써 점차 응력경로가 왼쪽으로 치우쳐 지다가 다시 오른쪽으로 가게 되는 S자 라인을 형성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수정 파괴 포락선 (modified failture envelope)

이 수정 파괴 포락선은 중심점과 반지름을 쉽게 알 수 있으며 Mohr의 응력원의 접선을 이은 파괴포락선을 구해야 하지만 접선을 찾기가 쉽지 않고, 다만 대략적인 위치를 알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 그래프에서의 기울기는 수정파괴포락선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으로 표시된다.

구속압 (kPa) X Y X' Y'
0 0 4.899 0 3.914
100 158 58.0579 99 58.05914
150 235 85.21745 145 85.21656
200 313 112.8088 200 112.809

이 두 개의 그래프를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듯이 파괴포락선과 거의 같은 모양으로서 기울기에서도 유효응력을 이용한 수정파괴포락선이 더 가파른 것을 알 수가 있다. 이 그래프는 파괴포락선의 모양과 거의 같은 모양으로 최대 정점(peak)을 이은 수정파괴포락선을 그린 것이다. 위의 그래프를 통하여 흙의 고유의 강도정수를 구하여 보자∮

전응력 ° c 유효응력 ° c
18.881 19.999 5.2134 28.767 33.299 4.6828
(°) = tan^-1기울기 ∮=sin^-1(tan 기울기) c'=기울기/cos∮'

  o-r 파괴포락선 o'-r'파괴포락선
기울기 0.363 0.656
a'각도(°) 19.95 33.264
절편 5.213 4.682
∮' 21.28 40.99
c' 5.59 6.21

 

  1. 지반이 압밀 된 후, 비배수 전단강도의 증가를 확인, 또는 굴착 등으로 지반이 팽창되었을 때의 비배수 전단강도의 감소를 확인하고자 할 때
  2. 정규압밀점토가 프리로딩공법등에 의해 압밀 강화되어 그 위에 다시 재하 하려는 경우
  3. 저수지나 운하의 사면 내의 지하수위가 급강하된 경우
  4. 자연사면 점토지반에 급히 성토를 행하려 할 때, 성토 전 점토의 비배수 전단강도를 알고자 할 때
  5. 불포화 점성토 및 균열 점토

실험에 대한 고찰

이번 실험은 삼축압축 실험을 실제로 삼축압축 실험기를 사용해 가며 실험을 하지는 않았지만 데이터를 정리해 나가면서 매우 힘들고 복잡한 시험임을 알 수 있었다. 먼저 CU-test를 통해 전응력과 축차응력을 통해 간극수압을 측정할 수 있었다. 그에 따른 결과로 유효응력 또한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이번 데이터를 분석하고 결과를 분석하면서 초기값만을 빼고는 다른 구속압과 거의 같이 거동을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또한 구속압이 클수록 축차응력-변형율 곡선, 간극수압-변형율 곡선들이 좀 더 가파른 기울기로 변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구속압이 200 kPa일 때의 초기의 값이 0으로 유지되다가 다른 구속압들 보다 늦게 반응하였다. 그 이유는 아마 다이얼 게이지 쪽에 문제가 있었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o'-r'응력경로를 살펴보면 응력경로가 처음에는 45°정도의 직선의 그래프를 가지다가 점차 기울기가 감소하였는데 이것은 간극에 있는 물이 어느 정도의 압력을 받다가 그 한계에 도달하면서 다시 기울기가 왼쪽으로 기우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것은 DAS책의 처음 부분에 나왔던 스프링과 물의 관계를 잘 설명해 주는 응력경로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엑셀에서 구한 그래프들로 보았을 때 선행 압밀을 받지 않은 NC Clay임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로는 첫째, 과압밀 점토라면 축차응력-변형률(Axial strain) 그래프에서 정점을 찍고 잔류응력 형태로 그래프 모양이 그려져야 하지만 엑셀로 구한 그래프에는 NC Clay의 전형적인 모습을 나타내었다.

둘째, 간극수압-변형률(Axial strain) 그래프에서 과압밀점토는 토립자의 Over-turning 현상으로 인해 토립자가 물입자를 끌어당겨 생기는 음의 간극수압(부압)이 발생해야 하지만, 데이터 상으로 나타난 그래프에는 그러한 현상이 보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정규압밀점토라고 추론할 수 있었다.

셋째, p-q diagram상에 응력경로를 표시하는 과정에서 원래 유효응력에 대한 p‘값은 전응 력에대한 p값에서 간극수압 u를 빼서 계산하는 것이고 q값은 전응력에 대한 값이나 유효 응력에 대한 값이 같다고 배웠는데 시험결과 역시 이론에 일치하였다.

넷째, 전응력에 대한 파괴포락선의 내부마찰각이 유효응력에 의한 파괴포락선의 내부마찰각 보다 각도가 작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Skempton의 간극수압계수가 0에서 급격히 증가하다가 0.4~0.6 사이에서 있는 것으로 보아 정규압밀점토라고 추정할 수 있었다.

정규압밀 점토의 경우에 점착력(c')이 0인 값이 나오는 것이 이론적인 값이다. 하지만 이번 실험에서 정확히 0이 나오지는 않았는데 이 정도는 오차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므로 데이터의 신뢰성에 크게 이상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실제 직접 실험기구를 통해 실험해 보지는 못했기 때문에 오차의 원인을 분석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데이터를 정리하는 과정이 얼마나 힘든지를 여실히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우리가 단순히 이해하고 암기했던 이론들이 실제로 적용된다는 점을 보여주는 실증적인 실험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마무리 글

이 블로그 포스팅에서는 토질역학 실험 중 하나인 삼축 압축시험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았습니다. 삼축 압축시험은 토지의 압축 특성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로, 건설 및 지반엔지니어링 분야뿐만 아니라 지진 예측, 광물 자원 개발, 환경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 실험을 통해 우리는 토지의 수축 특성, 응력-변형 행동, 응력 경로의 변화에 따른 변화 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는 안전한 건설 프로젝트의 기반을 제공하고, 지반의 안정성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삼축 압축시험은 간단한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신중하고 정밀한 작업이 필요합니다. 실험 수행 전에는 충분한 계획과 장비 점검이 필수적이며, 결과 해석 시에는 토질 역학에 대한 기본 이해와 경험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삼축 압축시험은 토지의 특성을 이해하고 지구 과학에 관한 지식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계속 발전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기술과 연구 결과를 주시하면서, 우리는 지구의 비밀을 더 깊이 파헤치며 지구 환경과 안전을 보호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토지의 미시적인 세계는 여전히 많은 놀라움을 품고 있으며, 이를 이해하는 데 계속해서 노력하고 탐구해 나가야 합니다.

댓글